두 번째 예시는 신자석 첫째 줄 바로 앞에 공간을 두고 휠체어석을 만드는 방법이다. 성당에 분리 가능한 좌석이 없거나 본당에 휠체어를 이용하는 신자가 여러 명일 경우에는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휠체어석’ 팻말를 활용하면 좋고, 바닥에 장애인 주차구역 등에 사용하는 픽토그램 등을 표시하면 장애인석의 정확한 위치를 알기 용이하다.
그러나 권고안은 전례공간 마련에 앞서 본당 장애인 신자들의 의견을 듣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알렸다. 권고안은 “일반 신자들도 자신이 선호하는 자리가 있듯, 장애인들도 마찬가지로, 뒷자리를 선호하는 분들이 계실 수 있다”며 “휠체어석 마련과 같은 현실적인 대책보다 중요한 것은 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라고 밝히고 있다.
장애인사목위원회 위원장 김영철(요한 사도) 신부는 “권고안에 제안한 예시들은 새로운 방식이 아니라 이미 여러 본당에서 적용하고 있는 방식”이라면서 “환경 개선을 요청하는 장애인들의 목소리에는 불편함보다 무관심과 서운함에 대한 감정적 호소가 더 깊이 자리 잡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김 신부는 “장애인 신자들이 교회 안에서만큼은 배려를 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본당 신부님과 봉사자들의 따뜻하고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