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밀알 하나]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5) / 임채룡 베다 신부

임채룡 베다 신부 ,교구 생태환경위원회 부위원장
입력일 2023-06-05 수정일 2023-06-05 발행일 2023-06-11 제 3347호 3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미국은 지난 16년간 보험회사의 배상금과 정부 지출을 통해서 기후재난 피해를 복구해왔습니다. 반복되는 태풍, 홍수와 가뭄으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는 데 소비된 돈은 무려 2100조 원에 달합니다. 매년 131조가 순수하게 기후재난을 복구하는 데에만 쓰인 돈입니다. 그리고 이 비용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입니다.

이전에도 말씀드렸듯 기후재난의 주기가 점점 더 짧아지고 강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연구 결과 한국도 1년에 41조 원 정도를 기후재난에 부담해야 한다고 드러났습니다.

미국과 같이 부유한 나라도 이만한 돈은 감당하기 어려운 돈입니다. 지난 2020년 한국을 강타했던 장마로 수많은 도시와 강변이 침수되고 파손됐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복구가 완료되지 않고 있는 모습을 바라보자면, 다가올 기후재난을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는 자연스럽게 알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한국과 같은 반도 국가들에는 대부분 해안 근처에 있는 낮은 지대에 발전된 도시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남부의 마이애미가 대표적인 도시인데, 마이애미에서는 화창한 날에도 홍수를 만날 수 있습니다. 비가 많이 오는 것도 아니고 구름이 있는 것도 아닌데 도로가 너무 많이 침수되어 어디를 가든 물 속에서 다녀야 합니다. 이런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해수면이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현재 마이애미는 해수면 상승에 대한 대비책으로 도로의 높이를 올리고 있습니다.

한국에도 이런 도시들이 있습니다. 만약 인천, 부산과 같이 해안과 맞닿은 도시들의 도로를 15㎝ 정도 전부 높여야 한다면 얼마나 많은 비용이 지출될까요?

사실 현재 몇몇 과학자들은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기후위기를 해결하는 기술적 방법들을 찾아내는데 성공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많은 경제적 장벽들이 제거되면서 이러한 기술들을 기후 문제에 도입할 수 있게 되었지요. 그런데 사실상 이런 기후재난을 막기 위해 넘어야 할 가장 큰 벽은 정책에 관한 분야입니다.

현재 한국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 중 85% 이상이 에너지 산업에 집중돼 있습니다.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온실가스이지요. 바꿔 말하면 에너지 산업에서 정의로운 전환만 이루어진다면 한국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하지만 올해 4월 11일에 발표된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 초안을 살펴보면, 정의로운 전환과는 정반대로 흘러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곳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보다는 가장 힘 없는 곳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지요.

임채룡 베다 신부 ,교구 생태환경위원회 부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