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획/특집

[성미술 작가 다이어리] (6) 김형주 작가

정리 최용택 기자
입력일 2024-01-31 수정일 2024-01-31 발행일 2024-02-04 제 3379호 13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모든 사물에 담겨있는 하느님의 생명력… 그 아름다움 담아내고파”
어릴 때부터 벽과 책에 그림 그려
고교 때 세례받고 성미술 활동
124위 복자화 등 작품 제작·봉헌

김형주 작가.

병원 흰 벽에 낙서하던 소녀

저는 아기 때부터 매일 그림을 그렸어요. 그래서 학교 다닐 때도 친구들이 나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인 줄 알았어요. 아버지께서 의사셨는데, 6·25전쟁 후 수원에 병원을 개업했는데, 당시 병원은 벽을 다 흰색으로 페인트칠했잖아요?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이었는데, 그 하얀 벽이 너무 좋았던 거예요. 거기에 막 낙서로 그림을 그렸죠. 당시 없는 돈에 페인트칠을 해놨는데, 낙서를 해서 엄청 야단을 맞았던 게 기억이 나요. 국민학교(초등학교)에 들어가서도 여기저기 책에 그림을 그리니, 선생님께서 친구들에게 내가 그림을 그리고 있으면 이르라고 하기까지 했어요.

그러다보니 아버지께서 제게 당시 홍익대 미대에 다니던 학생을 과외선생으로 붙여주셨어요. 당시 아버지 병원이 수원에 있었는데, 선생님께서 근처 논밭과 초가집, 나물 캐는 아주머니 등을 그리게 했어요. 어떻게 보면 평생을 혼자 이것저것 찾아서 그림을 그리게 된 시작인 것 같아요. 그렇게 자연스럽게 미술대학에 들어가게 됐죠.

대학에 가서는 좀 놀았어요. 너무나 흥미 있는 게 많았던 거죠. 대학교 때는 그림을 그렇게 막 죽자고 그린 것 같진 않아요. 졸업 후 어느 날 가만히 생각하니까 내가 뭐를 할 줄 아는 게 별로 없는 거예요. 그래서 색을 쓰는 방법을 익히기 위해 거의 매일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결혼 후 애들 키울 때라 애들 밥해가면서 아침마다 수채화를 그렸는데, 1년에 280여 장을 그렸더라고요. 그리고 친구들과 10년 동안 크로키를 했어요. 그림 그리는 손의 기능을 익힌 거죠.

이후 한창 추상화에 빠져 여류화가들과 함께 한바탕 신나게 그림을 그렸죠. 그때만 해도 학교 졸업하고 작품 활동을 계속하는 사람이 별로 없었어요. 그 당시 저는 혼자서 현대화랑 이런데서 큰 전시회도 열었죠.

삶의 전환점이 된 가톨릭미술가회

저는 고등학교 때 세례를 받았어요. 부모님은 수원에 사시고 저는 학교에 다니기 위해 서울에서 지냈는데, 왠지 성당에 나가고 싶더라고요. 성당에 다니는 친한 친구도 있었고요. 고등학교 1학때 종로성당에서 세례를 받았어요. 그러다가 가톨릭미술가회를 소개받았어요. 가톨릭신자이다 보니 들어가야 하나보다 생각했죠.

가입하고 보니 다들 대학교 때부터 알고 지냈던 분들이었어요. 선생님들도 계셨고. 당시 회장이 이남규(루카) 화백이었어요. 이 화백님은 여기저기 저를 데리고 다니면서 ‘꼬붕’처럼 일을 시키셨어요. 제가 운전을 잘 해서 팜플렛을 들고 신문사들을 돌아다니며 미술가회 전시회 소식도 알렸고요.

이후 최종태(요셉) 선생님이 회장을 하실 때 거의 10년 동안 총무와 부회장을 했어요. 사실 실무는 제가 다 했던 거죠. 암튼, 가톨릭미술가회 활동으로 제 삶에도 큰 변화가 생겼어요. 미술가회에 들어오지 않았다면 교회미술, 성미술에 대해서는 잘 몰랐을 거예요. 당시만 해도 저는 여류화가로서 톱클래스라는 평가를 받을 때였거든요.

새벽 빛을 여는 사람들(124위 복자화).

1990년대 중반 가톨릭미술가회를 주축으로 성미술 운동을 펼쳤어요. 몇 년에 걸쳐 세미나를 하고 저변을 확대해 나갔죠. 당시 장익(십자가의 요한) 주교님이 우리를 이곳저곳 많이 데리고 다니면서 성미술의 필요성과 가톨릭 예술가들이 담당해야 할 몫을 강조하셨어요. 가톨릭 예술가들이 교회미술 활동을 하지 않으면 우리나라 성당에 외국의 싸구려 성물만 가득하게 된다고요.

그렇게 교회에 작품을 만들어 봉헌하기 시작했어요. 지금은 청주교구 멍에목성지 성당 작업을 하고 있고요. 저는 성미술을 하는 사람들은 성경을 그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성경을 읽고 해석하면서 작가로서 표현을 하는 것이 성미술 작가라고 생각해요. 성미술의 엑기스는 성경인거죠. 그렇게 요한복음서를 그리고 요나서를 그렸어요. 그리고 하느님의 종 ‘신상원 보니파시오와 김치호 베네딕도와 동료 순교자들’ 38위 초상화와 124위 복자화 ‘새벽 빛을 여는 사람들’을 그리게 됐죠.

주위의 생명을 신앙의 눈으로 표현

주위의 모든 사물에는 생명력이 있다고 느껴요. 겉으로 보기에는 잘 느껴지지 않지만, 식물들은 영양분을 주면 잘 자라고 꽃이 피잖아요? 그런 생명이 느껴지더라고요. 그런 생명력을 표현하고 있어요. 모든 것에는 하느님의 생명이 담겨있다고 생각하니 성미술과 일반 그림에 모두 생명이 섞여 있어요. 제가 느끼는 삶, 생명의 아름다움을 그림으로 계속 그리는 거죠. 요즘도 그림을 그리지 않는 날이 없을 정도예요.

저는 교회에서 성미술에 대한 관심을 더 가져줬으면 좋겠어요. 크지 않더라도 가톨릭 미술관을 만들면 좋겠어요. 작품 기증도 받고 한국교회 미술의 역사가 쌓일 수 있게요. 요새는 성미술하는 작가들이 많지 않잖아요?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만들어질 훌륭한 교회 자산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일에 교회가 나서면 좋겠습니다.

최양업 신부(배론성지 대성당 소장).

돌아온 탕자.

하느님의 어린양.

정리 최용택 기자 johnchoi@catimes.kr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