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된 이들과 소통했던 빈민사목 활동 통해 서로 다른 문화 이해하며 대화 나눠 “나의 성소, 하느님 부르심은 선교사”…차별 없이 웃으며 함께 사는 세상 염원
인터뷰 장소였던 초록 들판과 파란 하늘이 펼쳐진 제주도 성 이시돌 목장보다 싱그럽고 활기찬 미소가 인상적인 이어돈 신부(리어던 마이클 조셉·성 골롬반 외방 선교회·재단법인 이시돌농촌산업개발협회 이사장). 그 안에서도 진지함을 잃지 않았던 이 신부의 다방면에 대한 생각과 철학을 들어봤다.
우선 하느님을 믿고 나서기
신앙의 선조 아브라함은 하느님 명령으로 고향을 떠날 때 어디로 가야 할지 몰랐다. 하느님께 자신을 내맡긴 것이다. 이어돈 신부는 이와 달리 현대 생활이 계획의 연속임을 우려했다.
“고(故) 임피제 신부님도 제주도에서 처음부터 성 이시돌 목장, 복지병원, 피정의 집, 어린이집, 사제관 등 이 모든 걸 하리라고는 생각 못하셨을 거예요. 물론 계획은 있으면 좋은데, 앉아서 3년 후 계획을 얘기하는 일은 없었어요. 사랑은 말하는 게 아니라 실천하는 거예요. 어떻게 실천할까 생각하다 보면 하나씩 하나씩 방법이 생겨나고 한 걸음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며 큰일을 성취하게 되는 거죠.”
이 신부는 하느님께서 도와주지 않으셨다면 여기까지 올 수 없었을 거라고 확신에 찬 목소리로 말했다. 지난 일들에서 앞으로의 희망도 본다고. 자신도 처음 한국에 온 이유가 그저 친구들과의 술자리를 가지려다가, 였기 때문이었을까. “이 작은 이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그가 제자라서 시원한 물 한 잔이라도 마시게 하는 이는 자기가 받을 상을 결코 잃지 않을 것이다.”(마태 10,42)라는 성경 구절처럼, 처음부터 너무 원대한 무언가를 찾지 말고 할 수 있는 만큼으로 시작하는 것, 그러다 보면 우리를 부르신 하느님의 도우심대로 역사하실 것이라고 이 신부는 믿는다.
“누구나 성소에 따라서 살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런 저의 성소, 하느님의 부르심은 선교사라고 생각합니다.”
선교를 통해 ‘다름’을 배우다
“방 2개짜리 집에 신부 두 명이 살았는데 어느 날 한 아이가 와서 몇 명이 함께 사냐고 물었어요. 두 명이라고 하니 둘밖에 안 되냐고 놀라더라고요. 자기는 이만한 집에 10명이 함께 살고 있다고요.”
1986년 1월 사제 서품을 받고 8월 한국으로 파견된 이 신부는 서울에서 1년 반 정도 빈민 사목을 했다. 한 도시 안에서 누구는 따뜻한 방에서 자고 누구는 힘들게 사는 모습을 보고 안타까움을 느꼈다. 그 후 30년이 훌쩍 넘게 한국에 머물고 있는 이 신부는 “한국에 오래 살아서인지 이제 아일랜드 가면 좀 어색하다”고 웃으며 말했다. 아일랜드에서만 살 때보다 한국에 와서 생각이 많이 넓어지고 세상을 다르게 보게 됐다.
성 골롬반 외방 선교회에서는 예부터 ‘나와 다른 사람이 가장 좋은 스승이다’라는 말이 있다. 이 신부는 자신의 견해나 주장에 도움이 되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취하고 반대는 외면하는 성향을 경계한다. 좋아하는 사람들 끼리끼리만 모이면 어떠한 틀 안에서만 사는 ‘우물 안의 개구리’가 돼버린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저는 지금도 새로운 걸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행복하고 재미있어요.”
다른 나라를 가게 되면 ‘왜 이렇게 하느냐’는 질문이 많아진다. 그 후 고향에 돌아가면 그동안 당연했던 것을 다른 시각으로 보게 되고 의문을 품게 된다. 이 신부는 “다양성 안에서 하느님을 제대로 볼 수 있다”며 “여러 문화를 통해서 서로 생각이 다른 사람들끼리 만나서 함께 대화하고 때론 다투기도 해야 서로 배우고 발전할 수 있다”고 전했다.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면 양쪽에서 좋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선교사는 부족할수록 많이 배울 수 있으니 서로의 문화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이 신부는 유쾌하게 귀띔했다.
차별 없는 세상에서 웃기
“제가 믿는 하느님은 신자 비신자 차별하지 않으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이 세상을 신자들만을 위해서 창조하지 않으셨어요.”
다른 종교라고 차별하지 말고 상대방에게서 배워야 한다는 게 이 신부의 생각이다. 다른 문화도 마찬가지이다. 선교 사제가 다른 나라에 갔을 때 그 문화에서는 아무리 이상해 보이더라도 신자들은 ‘그래도 우리 신부님’이라며 인정을 한다. 이것은 차별을 조금씩 없애는 데 효과적이라고. AI가 우리 하는 일을 거의 모두 다 할 수 있게 되더라도 우리는 사람으로서 존중받아야 할 가치가 있는 존재라고 생각한다.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이 위협을 받는 요즘, 다른 사람을 자기 도구로 이용하려는 생각을 버리라고 조언했다.
“세상엔 심각한 일이 많죠. 웃지 못하면 미쳐버릴 수도 있어요.”
인터뷰 내내 재치 있는 말로 웃음을 자아낸 이 신부는 “예수님이 옆에 계셨더라면 농담을 많이 걸었을 것”이라며 “위트로 어떤 어려움도 넘어갈 수 있다”고 유머에 대한 철학을 전했다. 어떠한 긴장 속에 있는 관계에서도 농담을 하면 이내 굳었던 얼굴이 얼음 녹듯 풀리며 미소로 바뀐다. 물론 자칫하다가는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줄 수 있기에 농담을 할 땐 조심해야 한다. 또 남들은 웃지만 나 혼자 상처를 받았을 때, 열을 내면 혼자 분위기 망치는 사람이 될 수도 있다. 때문에 위트에서는 중심을 잘 잡는 게 중요하다. 이 신부는 예수님을 믿으라고 강요하는 것보다 웃음과 농담이라는 부드러운 방법이 더 좋은 선교 방식이라고 여긴다. 이 신부와 함께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어느덧 마지막 한마디를 들을 차례가 왔다. 장난기로 무장한 이 신부의 앞날은 역시나 하느님과 함께다.
“하느님은 앞으로 이 세상에서 우리가 가는 길을 도와주실 거예요. 하느님을 믿든지 안 믿든지 말이에요. 뭐, 믿으면 더 도움이 될 수 있겠네요. 여러분 모두 힘내세요.”
박효주 기자 phj@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