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보다 더 위험한 ‘인간의 노예화’ 「간추린 사회교리」 272항 사회와 기업 효율성만 우선한다면 약자에게 더 큰 고통과 희생 전가 인간존엄의 상실이 가장 큰 위기
“‘말을 타고 강을 건널 때, 강 한가운데서 말을 바꾸지 말라’는 말이 있습니다. 위기의 순간에 믿음에 대한 확신을 가져야 합니다. 복음 말씀 안에서 제자들 중에 떠나간 이들은, 말을 바꿔 탄 이들이고, 결국 그들이 예수님께 말했던 것처럼, 더 이상 거북하지 않은 다른 스승을 찾아간 것입니다. 위기의 순간에는 인내와 침묵이 있습니다. 위기의 순간은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남아서 머물러야 하는 때입니다. 신실함과 하느님께 대한 믿음, 우리가 처음에 가졌던 결정에 대한 신의의 시기입니다. 이는 회심의 순간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신실함은 우리로 하여금 선을 떠나지 않게 하며, 우리에게 선을 위한 일종의 변화를 위한 영감을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프란치스코 교황, 2020년 5월 2일 산타 마르타의 집 강론 ‘위기의 순간을 사는 법 배우기’(Imparare a vivere i momenti di crisi) 중)
■ 최전선입니까? 후방입니까? 전 미국 노동부 장관인 로버트 라이시 교수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와 사회적 불평등을 언급하며 4계층을 이야기했습니다. 첫째는 경영·전문직으로 화상회의·원격근무가 가능한 인력(the remote)들로서 이들은 감염사태와 큰 관련이 없습니다. 둘째로 필수적 일을 하는 노동자로서(the essential) 전문직이어서 실직의 위험은 없으나, 감염사태로 인한 영향을 받습니다. 격무에 시달렸던 의료직, 택배나 배달, 경찰과 공무원 등의 그룹입니다. 셋째는 임금을 받지 못하거나(unpaid) 실직위험에 있는 그룹으로서 영세 사업장, 제조업체 등에서 단순노동을 하는 이들입니다. 코로나19는 이들을 대거 무급휴직이나 실직으로 내몰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잊힌 노동자(the forgotten)인데 재소자, 빈민과 노숙인, 외국인 노동자와 같은 사회취약 계층으로 이들은 자신을 방어할 능력이 없으며 거리두기 조차 용이하지 않습니다. 사회마저 이들을 외면한다면 이들은 잊힌 존재, 사각지대의 존재로 남습니다. 기업이 위기상황에서 효율성을 우선한다면 감염병 사태의 충격은 안타깝게도 약자에게만 전가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마치 전시의 전후방에 비유됩니다. 버틸 능력이 있는 사람은 후방에 있고 자신을 지킬 힘이 없는 약자들은 전방에 내몰립니다.이주형 신부 (서울대교구 노동사목위원회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