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유리알

[당신의 유리알] 15분의 물음

이주연
입력일 2024-12-19 15:01:45 수정일 2025-01-07 15:24:36 발행일 2025-01-05 제 3424호 13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원로사목자 이기명 신부가 허락한 단 15분의 인터뷰
전례박물관 만든 이유…“선배 사제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보고 그 흔적 기억했으면”

‘당신의 유리알’은 박홍철 신부(다니엘·서울대교구 삼각지본당 주임)가 인생에서 만난 이들의 저마다의 사연을 투명한 유리알처럼 하나씩 꿰어 들려준다.

그날 나는 원고 마감을 앞두고 있으면서도 제대로 한 줄 적지 못한 이유를 찾고 있었다. 물론 하얀 바다 같은 여백에 위대한 인물의 위인전을 애초에 쓰려던 것이 아니었다. 그저 아무도 그들에게 묻지 않았던 질문의 답을 간직하고 싶어서였다. 나는 자주 궁금했다. 오래된 건물이나 자리를 지키던 나무들이 하나둘씩 사라져 가고 뿌연 연기 같은 기억에만 의지해야 할 때, ‘그때 그래야 했는데’라는 후회를 자주 했던 탓일까. 인간은 어떻게 해야 앞선 시간의 후회를 미리 만회할 수 있는가.

단 15분만 허락된 이날의 인터뷰에서 ‘어떤 질문을 할지?’ 고민스러웠다. 어쩌면 ‘묻는다’는 행위보다 한 사람이 선택한 역사의 순간들을 세심히 ‘듣는다’는 게 우선일 것만 같았다. 이기명 신부님(프란치스코 하비에르·서울대교구 원로사목자)은 처음에 ‘지금은 신학원장직을 떠나 좋아하던 목공 일과 전례박물관 일까지 그만둬서 더 할 말이 없다’고 만남을 거절하셨다. 교회가 가진 무형의 보석을 캐는 일이 어디 쉬운 일이던가. 여러 차례 전화 끝에 신부님과 마주할 수 있는 시간은 단 ‘15분’이 허락되었다.

“너도 참 끈질기기도 하다. 내가 오래 앉아 있으면 이제 다리가 저려서 사람을 도대체 만나기가 어려운데 자꾸 보자고 하니.” 이럴 때는 오랜만에 외할아버지를 찾아가는 손주의 응석이 필요했다.

Second alt text
이기명 신부가 가톨릭대학교 대신학교 교정을 거닐며 묵주기도를 하고 있다. 박홍철 신부 제공

솔직히 첫 문장을 써 내려가기 어려웠던 건 아마도, 뵙기로 한 그날 원로 사제들이 지내고 있는 숙소 앞까지 나와 주신 신부님을 못 알아봤다는 자책감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방금이라도 교황님이 쓰실 여의도광장의 미사 제대를 만들자고 장군처럼 지시하실 수 있는 그분이, 내 기억 속에서 거친 비바람에도 거인처럼 우뚝 서 계실 것 같던 그분이, 지팡이로 세월만큼 힘없이 서 계실 줄이야.

주로 학생들은 신학원에서 저녁 식사를 하고 나면, 주변을 거닐며 대침묵에 앞서 봉헌되는 묵주 기도를 준비했다. 이때 신부님은 운동장을 보시다가 생활부장을 통해 지나가던 학생들을 장난스레 부르셨다. 그렇게 다가온 신학생들은 최대한 손주 같은 얼굴로 꼬집히고 당신의 굳은 어깨를 안마해 드리면서 세상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때는 그랬다. 그런데 그분이 부서질 듯한 몸으로 지팡이를 의지하신다니.

언젠가 봤던 ‘윈스턴 처칠의 초상’이 떠올랐다. 영국 의회는 윈스턴 처칠의 80세 생일을 맞아 그레이엄 서덜랜드에게 초상화를 의뢰하였다. 하지만 처칠은 고집스럽고 더 이상 달릴 수 없는 말처럼 축 처진 모습을 한 자신의 초상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화가는 있는 그대로를 그렸다고 했지만, 당시 처칠 수상의 초상을 통해 노쇠해 가는 영국을 표현하려고 했는지도 모른다.

Second alt text
서울대교구 원로사목자 이기명 신부

이제 나에게 주어진 15분. 어느 순간 나는 자신에게 묻고 있었다. “어떤 이유로 사제가 되려고 하셨나요?” 내가 선택한 15분의 첫 질문이었다. 신부님을 ‘잘 안다’는 누구도 이 물음에 답해 주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냥 태어날 때부터 우리 곁에 있었던 ‘부모’라는 이름처럼 당연하게 생각했을지 모른다. 시간은 계속 가고 있었다. 저린 다리를 연신 주무르시던 신부님은 첫 질문에 이렇게 답하셨다.

“6·25 때 수복이 되어서 학교 다니다가 본당에서 신부님들과 손님 신부님들을 자주 봤단다. 그때쯤 대학을 가야 하는데 어디로 가야 할까? 고민하다가 본당신부님 추천을 받았지. 당시에 내가 한 건 학생회 활동밖에 없었거든. 70년이나 된 일이라 기억을 다 못하지만, 하느님께 기도하다가 이렇게 된 건 아니고, 본당 활동을 하다가 신학교에 지원하게 되었어. 그때는 가난했는데 학비를 지원해 주는 신학교에서 쫓겨날까 봐 전전긍긍했단다. 그도 그럴 것이, 그때는 한 반이 67명이야. 학생이 많다 보니 성적 나쁜 사람은 한 학기에 20명씩 떨어뜨려 버렸거든. 그래서 서품받을 때는 39명밖에 안 남았어. 그때는 전쟁 후 폐허가 되어서 더 보고 자시고 할 것도 없었지.”

누구도 묻지 않은 질문의 답이 세상에 나왔을 때, 그것은 기억이 되고 보물이 된다. 첫 질문에 이어 얼른 다른 질문도 떠올렸다. 이를테면 “오랫동안 많은 신학생을 보셨을 텐데 이 신학생들이 사제가 되는데 적합한지 식별이 필요하셨겠지요. 신부님 나름의 기준이 있으신지?”부터 “소신학교 교사도 하셨는데 헌병 출신 신부님으로 겉으로는 무섭게, 속으로는 따뜻하게 해 주셨다는 이야기가 맞는지?”까지…. 보물을 캐는 작업은 이미 15분을 훌쩍 넘어섰다.

독설을 퍼붓는 윈스턴 처칠을 향해 초상화를 그렸던 화가 그레이엄 서덜랜드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세월은 잔인합니다! … 만약 당신이 무언가와 싸우고 있다면 저와 싸우는 게 아닙니다. 눈먼 당신 자신과 싸우고 있을 뿐이지요.”

개인적으로 사물을 비추는 거울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 자신의 모습을 보고 어리석은 내일을 꿈꾸거나, 지나간 영혼의 상처를 보면서 상상하는 건 인간의 탓이다. 누구나 오늘을 사는 만큼 주름의 무게를 감당해야 한다. 나도 30년, 40년 후에는 신부님과 같은 모습이 되어 갈 것이다.

이분을 통해서 신학교 내에 있는 박물관을 직접 만드신 것에 대해서 마지막으로 들을 수 있었다. “전례박물관을 만든 목적은 선배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후배들에게 보여주고 싶어서야. 역사를 정리하고 기록으로 남긴 이유는, 자기가 잘나서 사제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 앞에 선배 사제들의 흔적이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했으면 좋겠어.”

Second alt text
이기명 신부가 돌에 새긴 신학생들을 위한 기도문. 목공일을 종아하는 이 신부는 새사제들 서품성구를 나무판에 새겨 선물로 주곤 했다. 박홍철 신부 제공

말씀을 들으며 마치도 보이지 않지만, 뚝심 있게 건물을 지탱하는 철기둥이 하나 떠올랐다.

나에게 인생의 물음들은 항상 낯설고 더딘 세상을 새롭게 보여주었다. 그리고 ‘질문을 하는 행위’가 전부라고 생각할 때가 있었다. 그러나 젊어서는 두려움 앞에 놓인 인간이 주님께 길을 묻고, 시간이 흐르면 그분의 물음에 귀담아듣고 답해야 한다. ‘너 어디에 있느냐’, ‘무엇을 찾느냐’, ‘너희에게 빵이 몇 개나 있느냐’ 그리고 ‘무엇을 그리 두려워하느냐’까지.

어떤 모습으로 세상에 비치느냐가 아니라 어떤 행동으로 답하느냐가 인생을 살아가는 나침반이 될 테니까. 앞으로 ‘당신의 유리알’을 통해 그 여정을 조금씩 적어 가고 싶다.

글 _ 박홍철 다니엘 신부(서울대교구 삼각지본당 주임)
2004년 사제품을 받고 교의 미술 분야 연구를 위해 이탈리아 밀라노 브레라 국립 미술원에서 순수 미술을 전공했다. 이후 밀라노와 라벤나 등지에서 모자이크 연수를 받았다. 저서로 「밀라노에서 온 편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