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주변의 이웃을 영적으로 돌보고 치유에 나서고 있는 임상 사목 교육(CPE, Clinical Pastoral Education)이 시작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CPE 100주년을 맞아, 본지는 한국CPE협회(협회장 정무근 다미안 신부·예수회)와 함께 CPE의 의미와 CPE의 역사, 그리고 한국CPE의 활동을 5회 걸쳐 짚어본다.
현대사회는 생산의 효율성만을 강조하며 뒤처지는 이들에는 무관심하고 가장 약한 사람을 희생시키는 개인주의가 만연되어 있다. 그리고 고령화 사회로 인하여 노년의 외로움 속에 버림받는 이들도 늘어가고 있다. 이런 사회는 “함께 고통을 겪음으로써 그들의 고통을 나누고 안으로 견디도록 돕지 못하는 무정하고 비인간적인 사회”(「희망으로 구원된 우리」 38항)의 모습이다. 그래서 현대인들은 이런 영적 위기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한 의미를 찾는 영적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삶의 마지막을 존엄하게 마무리하기 위한 웰다잉(Well-dying) 의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런 사회에서 교회는 어떻게 살아있는 복음을 전할 수 있을까? 이런 시대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교회의 사명은 말씀만으로의 전달이 아니라 살이 있는 관계의 돌봄으로서의 실천이 필요하다.
돌봄의 정의와 개념
예수님께서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마태 7,12)라고 말씀하셨듯이 ‘돌봄의 관계’는 인간 생명을 증진하고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이중적 정의를 포함한다.(「중증 말기 병자의 돌봄에 관한 서한 착한 사마리아인(Samaritanus Bonus)」)
교회의 돌봄 사명은 “모든 사람 일생의 ‘돌봄’”(「생명의 복음」 87항)을 통해 삶의 원천인 하느님의 무조건적인 사랑을 드러내는 것이다. 즉 모든 병자가 질병과 고통 가운데 자기 존재의 깊은 의미를 재발견할 수 있게 하는 돌봄의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것을 위한 영적 돌봄에 특화된 교육이 CPE, 즉 임상사목교육이며, 이 교육 중에 이루어지는 영적 돌봄가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환자의 돌봄
착한 사마리아인처럼 거의 주검이 되어 길가에 버려진 사람에게 가까이 다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것처럼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병자와 당신 자신을 동일시하여 사랑에 기초한 관대함을 지니도록 초대하신다.(루카 10,29-37) 환자의 돌봄에서는 우선 환자 자신의 죽음과 신체적 통증에 의한 고통 속에서 혼자이고 버림받았다는 느낌, 기능 및 역할 상실의 여정 중에서 사회적 가치로 평가하는 시선들, 자신이 타인에게 짐이 된다고 느끼는 그들의 고통에 대한 이해를 있는 그대로 경청해 줄 돌봄이 필요하다.
특히 만성질환 환자나 생의 말기에 있는 환자의 돌봄에서는 그들의 고독과 고통 속에 함께 머물며(「희망으로 구원된 우리」, 38항) 인격적인 관계 속에서 환자가 자신의 죽음 너머의 새로운 생명의 희망으로 나아가기 위한 영적돌봄이 필요하다. 그들의 불안하고 두려운 감정에 직면하면서 고통과 죽음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만남 안에서 지지와 경청이 제공되는 영적돌봄(「착한 사마리아인」, 12항)인 것이다.
교회의 돌봄의 사명
이런 사목적 돌봄 즉 영적 돌봄은 그리스도교 덕행의 실천인 연민의 마음으로 공감하며 그들의 고통을 나누어 짊어짐으로써 위로하고 그들의 고독과 고통으로 들어가 사랑하고 환대하며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것을 임상실습을 통해 이러한 영적 돌봄을 훈련하는 것이 임상사목교육(CPE)이다.
글 _ 최선경 가타리나 박사(동백 성루카병원 CPE & 호스피스교육 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