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세상의 빛] 104. 가치에 대한 성찰 - 올바른 정의란 무엇일까 1.성경 속 정의 (「간추린 사회교리」 383항)

이주형 신부 (서울대교구 노동사목위원회 위원장)
입력일 2021-01-19 수정일 2021-01-19 발행일 2021-01-24 제 3229호 17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삶이 정의와 동떨어져 있다면 위선에 머무는 것입니다
말씀 속에 담긴 공정과 자비 실행
심판과 자애, 이중적 의미도 가져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 토대로 복음 수용하려는 의지 성찰해야

빌라도가 예수님께 말하였다. “진리가 무엇이오?”(요한 18,38)

■ 하느님께로부터만 흘러나오는 참된 가치들

예수님과 대화를 나누던 빌라도는 진리가 무엇인지 궁금했던 걸까요? 아니면 칼과 무력이 힘이고 진리인 세상에서 힘없는 피신문자가 진리 운운함을 조롱한 걸까요? 당시는 강대국이 약소국을 무자비하게 압제하는 시대였고 식민지 총독이었던 그에게 무력은 진리이자 통치 정의를 위한 확실한 수단이었습니다. 또한 세상은 그것이 진리라 여겼습니다. 자연스레 강자와 약자 모두 자신의 권리와 이익만을 지키려 했습니다.

오늘날도 마찬가지입니다. 정의는 이익 다툼 속에서 항상 상대적인 것으로 폄하되고 왜곡됩니다. 그러나 그 속에는 불의한 일은 나만 안 당하면 된다는 안이함이 있고, 내 이익을 위해 진실을 숨기는 욕심이 또한 있으며, 진리와 정의를 알고도 침묵하는 위선이 숨어 있습니다. 하지만 가톨릭교회 가르침은 정의를 선명하고 분명하게 제시합니다. 왜냐하면 4추덕의 하나인 정의는 절제, 용기, 지혜와 함께 하느님에게로부터 흘러나오기 때문입니다. 정의도 신앙과 하느님을 통해 조명할 때 그 진의를 깨닫습니다. 먼저 계시의 원천인 성경을 봅시다.

■ 성경에서 이야기하는 정의

성경 속 정의는 하느님 말씀과 계명에 근거하며, 이를 정확히 준수하는 것입니다. 정의는 하느님 말씀 속에 담긴 공정과 자비를 실행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의롭고 거룩하며 완전한 사람이 됩니다. 또한 성경 속 정의는 사회적 약자들, 과부나 고아·노예·이방인에게 환대와 사랑을 베풀 것을 강조했고, 예언자들은 약자가 고통 받는 구체적인 현실 상황을 직시하며 힘없고 가난한 자에 대한 폭력과 착취를 통렬하게 규탄했습니다. 그리고 탐욕과 문란함은 종교적·윤리적 악(惡)이자 불의함이라고 선포했습니다.

그러나 정의는 심판과 자애라는 이중적 의미도 갖습니다. 아무리 하느님 백성이라도 잘못을 하면 벌을 받을 수 있으나(신명 33,21; 아모 5,24) 동시에 진심으로 회개하는 이에게 하느님께서는 한없는 자비를 베푸시기 때문입니다.(시편 116,5-6) 정의는 인간과 사회를 의롭게 하기 위해 하느님께서 인간에게 요구하는 것이며, 인간 입장에서는 어떤 보상만을 얻기보다 하느님을 순수하게 사랑하고 신뢰하기에, 그분과의 일치 안에서 실천하는 것이었습니다.(「한국가톨릭대사전」 ‘정의’ 참조)

성경 속 정의는 사회적 약자에게 환대와 사랑을 베풀 것을 강조했고, 예언자들은 약자가 고통 받는 현실을 직시하며 힘 없고 가난한 자에 대한 폭력과 착취를 통렬하게 규탄했다.

■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정의

예수님께서는 정의의 참다운 의미를 밝히시는데, 마태오복음에서 정의는 하느님 말씀의 준수에 있고, 형제와의 화해, 극기와 인내, 혼인에 대한 충실함, 정직과 비폭력의 실천, 원수 사랑에서 비롯된다고 합니다.(마태 5,17-48) 또한 참된 자선·기도·단식은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는 것이며, 하느님과 재물을 함께 섬길 수 없고, 오히려 재물을 하늘에 쌓아야 한다고 하시며 정의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말씀하십니다.(마태 6,1-24) 또한 참새나 들풀, 입을 옷과 길쌈의 비유를 통해 세상 걱정만 하기보다 우리를 돌보시는 하느님께 대한 믿음을 갖길 가르치셨습니다.(마태 6,24-25) 이 모든 것을 종합하는 예수님 말씀은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내 몸 같이 사랑하라”입니다.(마르 12,29-31) 바로 이것이 하느님께서 주시는 참된 정의입니다.

■ 복음을 받아들일 의지

우리가 살펴본 성경 속 정의는 대헌장처럼 큰 틀을 제시하고, 정의가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라는 바탕 위에서 성찰돼야 함을 밝힙니다. 물론 정치, 경제, 노동과 환경, 생태와 국제관계 속에서 정의를 위한 더 자세한 가르침도 필요하며 이것은 사회교리 문헌을 통해 존재합니다. 하지만 가장 먼저 생각해 볼 것은 바로 복음을 수용하려는 우리 의지입니다. “부르심 받은 이들은 많은데 선택된 이들은 적다”(마태 22,14)는 말씀처럼, 우리의 삶이 참된 정의와 동떨어져 있다면 결국 정의가 있음에도 받아들이지 못하는 위선에 머무는 것입니다. 그래서 현실 속에서 내 이익만을 위하고 가족이나 이웃에 무관심하려는 유혹에 빠져 있지 않은지 겸손하게 성찰함이 필요합니다.

진리가 무엇이냐는 빌라도의 질문은 끊임없이 지금도 우리에게 전해져 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끊임없이 지배욕의 유혹을 받는 인간 권위에게 권위의 참되고 완전한 의미는 봉사에 있음을 드러내신다. 하느님께서는 모든 인간의 한 분이신 아버지이시며, 그리스도께서는 한 분이신 스승이시고, 모든 사람은 형제자매들이다.”(「간추린 사회교리」 383항)

이주형 신부 (서울대교구 노동사목위원회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