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종교박해 당하고 순교하는 이들에게 우선적 관심을 기울여야”
“「2024 북한 종교자유 백서」는 북한에서 종교와 신앙 활동이 부분적이지만 은밀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희생된 순교자와 박해받는 이들을 한국 종교계가 기억하며 그들의 희생을 예방하기 위한 구제조치를 취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발간했습니다.”
(사)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윤여상(요한 사도) 소장은 한국 종교인들이 북한 복음화와 선교를 대비하는 것은 ‘미래에 대한 준비’이기 때문에 현재 북한에서 종교적, 인권적으로 박해받거나 순교한 사람들을 기억하고 구제하려는 노력을 우선적으로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통일부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을 면접조사하고 문헌자료 조사를 거쳐 북한 종교박해에 관한 최신 정보를 통합해 2007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북한 종교자유 백서」를 발간했다.
그러나 통일부가 북한인권정보센터의 하나원 조사를 허용하지 않아 2020~2023년 백서 발간이 중단됐다가 2024년부터 조사가 재개돼 이번에 4년 만에 「2024 북한 종교자유 백서」가 나오게 됐다.
“4년 만에 백서가 나왔지만 기본적으로 북한 인권 상황과 북한의 종교자유 현황은 변함이 없습니다. 오히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지속, 코로나19 팬데믹, 북한의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제정, 외부정보 유입 통제 강화 정책 등으로 북한의 종교자유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북한 당국은 종교활동뿐 아니라 미신행위까지 매우 강력히 통제하고 처벌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윤 소장은 남북한 종교 교류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 종교 현황에 대한 꾸준한 관심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남북한 종교 교류가 어느 시점에는 재개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고, 반드시 그렇게 돼야 합니다. 지금처럼 남북 교류가 단절된 시기에도 기도에 힘쓰며 북한 종교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학습해야 합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준비라고 생각합니다.”
윤여상 소장은 한국 종교계의 과제에 대해서는 “종교를 가장 큰 체제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는 북한 당국의 종교탄압과 박해는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며 “북한 체제와 사회운영 체계를 반영한 북한 선교복음화 전략을 개발하는 데 한국 종교계는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지순 기자 beatles@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