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 사도의 삶과 사도좌…사도좌는 사도적 계승과 수위권 표현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2월 22일)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 베드로 사도를 당신의 지상 대리자로 삼으신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가톨릭교회 초기 역사는 곧 베드로가 걸어갔던 발자취에 압축돼 있다고 볼 수 있다. 6월 29일이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로 정해지면서, 2월 22일은 베드로 사도를 교회의 최고 목자로 공경하는 축일로 기념되고 있다. 전 세계 가톨릭교회의 총본산인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이 성 베드로 사도 무덤 위에 세워진 역사에서도 그가 왜 으뜸 사도이며 교회의 반석이 됐는지를 알 수 있다. 베드로 사도의 신앙과 순교, 사도좌의 의미를 알아본다.
베드로 사도의 신앙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 복음(마태 16,13-19)에는 베드로 사도가 예수 그리스도를 “스승님은 살아 계신 하느님의 아드님 그리스도이십니다”라고 고백한 내용이 담겨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이 고백을 들은 뒤 베드로라는 반석 위에 교회를 세우고 베드로에게 하늘나라의 열쇠를 주겠다고 선언한다. 이로써 성 베드로 사도는 교회의 반석이 된 것이다.
베드로 사도가 교회의 반석이 되기까지 예수님을 충실히 따르기만 한 것은 아니다. 갈릴래아 출신 어부였던 베드로 사도는 예수님으로부터 부름을 받고 제자가 된 후(마태 4,18-22, 마르 1,16-20 참조) 예수님으로부터 “두려워하지 마라. 이제부터 너는 사람을 낚을 것이다”라는 사명을 부여받는다.(루카 5,10)
예수님이 특별히 아낀 제자가 베드로 사도였다는 사실은 제자들이 모두 예수님을 배반할 것이라는 예언에 베드로 사도가 “모두 스승님에게서 떨어져 나갈지라도, 저는 결코 떨어져 나가지 않을 것입니다”(마태 23,33)라고 말한 성경 기록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베드로 사도는 예수님의 예언대로 닭이 울기 전에 “나는 그 사람을 알지 못하오”라고 세 번 부인했다. 그럼에도 베드로 사도가 교회의 으뜸 사도(사도좌)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예수님의 말씀이 생각나서, 밖으로 나가 슬피 울었던 회개의 행동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마르 14,66-72, 루카 22,55-62 참조)
예수님이 부활한 뒤 제자들에게 나타나 특별히 성 베드로 사도에게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라고 세 번 묻고 역시 세 번 “예, 주님, 제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을 주님께서 아십니다”라는 대답을 들은 뒤 “내 양들을 돌보아라”라고 명령한다. 성 베드로 사도에게 양들을 돌볼 사목권을 부여한 것이다.(요한 21,14-17 참조)
베드로 사도를 교회 으뜸으로 세워
그리스도 대리자로 삼으신 것 기념
교회 사목적 최고 권위 상징 ‘사도좌’
후계자인 교황에게 계승돼 이어져
보편교회 목자로 직접적 인직권 지녀
성 베드로 사도의 순교
예수님은 베드로 사도에게 “내 양들을 돌보아라”라고 명령하면서 동시에 베드로 사도가 어떠한 죽음으로 하느님을 영광스럽게 할 것인지 예언하시며 “나를 따라라”라는 명령도 내린다.(요한 21,18-19 참조) 베드로 사도의 순교를 암시하는 구절이다. 베드로 사도의 순교에 대해서는 성경에 기록돼 있지 않고 전승으로 알려져 있다. 베드로 사도는 생애 후반기에 로마로 가서 활동하다 순교했고 그곳에 묻혔다고 전해진다. 베드로 사도가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한 모습을 그린 성화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서기 95년경 로마 클레멘스 주교는 ‘코린토인들에게 보낸 편지’라는 글에서 베드로 사도가 그리스도교 박해 속에서도 거룩하고 위대한 모범을 보여주었다고 기록했다. 베드로 사도가 순교했다는 전승은 여러 가지 형태로 부정확하게 전해지다 2세기 말에서 3세기 초에 정립됐다. 베드로 사도가 65년경 로마 네로 황제의 대박해 기간에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했다는 내용이다.
성 베드로 대성당과 사도좌 수위권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은 베드로 사도의 무덤 위에 세워졌으며, 전 세계 가톨릭교회의 중심이다. 최초의 성 베드로 대성당은 90년경 성 아나클레토 교황에 의해 작은 경당으로 지어졌다. 그 뒤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밀라노 칙령’을 반포함으로써 신앙의 자유가 주어졌고, 330년 무렵 성 실베스테르 1세 교황이 베드로의 무덤이 있다고 믿어 온 바티칸 언덕에 새 성당 건축을 시작해 30년간의 공사 끝에 완공했다.
지금의 성 베드로 대성당 건축 역사는 무척 길다. 15세기 중반 니콜라오 5세 교황이 재위 중에 재건축을 구상하기 시작했지만 여러 차례 건축 계획이 실행되지 못하다가 결국 176년이라는 오랜 공사 끝에 1626년 11월 18일 우르바노 8세 교황에 의해 봉헌됐다. 그 후 알렉산데르 7세 교황의 위촉을 받은 베르니니가 주랑(柱廊)으로 둘러싸인 타원형 광장을 설계해 성 베드로 대성당의 진입로 역할을 하게 하면서 오늘날의 성 베드로 대성당의 전체 형태가 완성됐다.
성 베드로 대성당은 길이 221m, 높이 141m에 이르는 세계 최대 규모의 성당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가시관을 상징하는 대성당 돔의 직경도 42m나 된다. 성 베드로 대성당 정면에는 성년(聖年)에만 열리는 성문(聖門)이 있다. 성 베드로 대성당 중앙 제대 아래에는 베드로 사도와 많은 교황들의 무덤이 자리한다. 중앙 제대 뒤편에는 성 베드로 사도좌가 보존돼 있다. 청동으로 만든 베드로 사도 동상도 대성당 내부에 있다.
‘성 베드로 사도좌’는 전 세계 교회에 대한 사목적 최고 권위를 상징한다. 이 권위는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사도들 가운데 으뜸인 베드로에게 수여됐고, 그 후계자인 교황에게 계승되고 있다. 사도좌라는 어휘는 교회에서 성좌(聖座), 성청(聖廳), 교황청(敎皇廳)으로도 쓰인다.
베드로에게서 시작된 사도좌는 교회법 제331조 “주께로부터 사도들 중 첫째인 베드로에게 독특하게 수여되고 그의 후계자들에게 전달될 임무가 영속되는 로마 교회의 주교는 주교단의 으뜸이고 그리스도의 대리이며 이 세상 보편교회의 목자이다. 따라서 그는 자기 임무에 의하여 교회에서 최고의 완전하고 직접적이며 보편적인 직권을 가지며 이를 언제나 자유로이 행사할 수 있다”는 조항과 제333조 제1항 “교황은 자기 임무에 의하여 보편교회에 대한 권력을 가질 뿐 아니라 모든 개별 교회들과 그 연합들에 대하여도 직권의 수위권을 가진다”는 조항에 의해 사도적 계승과 수위권을 본질로 한다.
성 베드로 사도와 그 후계자인 교황이 행사하는 사도좌 권위는 ‘단체성’(collegiality)을 중요한 요소로 한다. 이 개념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교회론과 교회 규범에서 자주 언급됐으며, 교황을 머리로 하는 주교단의 신학적, 법적 성격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성 베드로 사도좌 권위는 하느님 백성과의 일치 안에서 행사된다.
박지순 기자 beatles@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