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을 도구화하는 인간 복제 “할 수 있어도 해선 안 돼” 복제된 인간의 장기 획득하고 상업적 도구로 사용할 목적 인간 지배하고 노예화하는 일 과학, 인간 존엄성 존중 범위서 자유·자율성 보장받을 수 있어 생명윤리 교육해 인식 바꿔야
“인간 스스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포기하는 것이며, 다시는 빠져나올 수 없는 재앙과 파멸의 길로 들어서는 것이다.” 인천가톨릭대학교 윤리신학 교수였던 정인상 신부는 「인간 생명 복제,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인간 복제의 문제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인간 복제는 인간이 스스로 생명을 자신의 것으로 오해하고, 창조까지도 할 수 있다는 착각에서 비롯된다는 지적이다. 이는 인간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생명공학 목적에 부합하지 않고, 오히려 인간 실존을 위협한다는 경고이기도 하다.
정 신부의 우려처럼, 인간이 인간을 만드는 ‘인간 복제’는 인간 스스로 존엄성을 침해하는 일이다. 인간은 수정 순간부터 죽을 때까지 누구에게도 통제받을 수 없는 존재인데도, 인간 복제는 사람을 누군가에게 통제받을 수 있는 도구로 전락시켜 버린다. 실제 인간 복제는 유전적으로 하나뿐인 ‘원본’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복제물’을 만드는 모든 인간의 무성 생식, 비배우자 생식을 말한다. 인간 복제를 통해 사람들은 성적 결합과 배우자 없이도 생명을 만들 수 있게 되고, 체세포 핵을 핵이 제거된 난모세포에 주입해 배아로 발달시켜 착상시키기만 하면 해당 핵 주인과 같은 유전 형질의 인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인간 복제가 인간을 노예화한다는 사실이다. 인간 복제를 찬성하는 일부 사람들은 ‘복제인간’을 ‘복제되지 않은 인간’을 위한 장기 제공, 불임 해결, 노동인력 수단 등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결국 똑같이 존엄한 사람을 사람이 지배하겠다는 주장에 지나지 않는다. 교황청 신앙교리성도 2008년 ‘훈령 「인간의 존엄」에 관한 요약’을 발표하고 “(복제인간은) 벗어나기 힘든 일종의 생물학적 노예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인간 복제는 복제되지 않은 사람이 복제된 사람에게 미리 정해진 유전적 정체성을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이 타인의 유전 형질을 자의적으로 결정하는 만용이고, 모든 인간의 근본적 평등과 복제인간의 존엄에 중대한 손상을 입히는 행위라는 지적이다. 교회는 복제인간도 복제되지 않은 인간과 같이 소중한 인간으로 본다. 때문에 인간 복제 문제와 관련해 교회를 포함해 대부분은 “지킬 선은 지켜야 한다”고 지적한다. 과학기술이 급진적으로 발달할 수 있다고 해도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와 윤리를 우선 지켜야 한다는 뜻이다. 2002년 말 미국 클로네이드사가 인간을 최초로 복제했다고 주장했을 때 당시 주교회의 생명윤리연구위원회 위원장 안명옥 주교는 “할 수 있다고 아무것이나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과학은 인간 존엄성을 존중하는 범위 내에서만 자유와 자율성을 보장받을 수 있고, 한 생명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생명을 희생시키는 일은 있을 수 없다는 설명이다. 교황청 역시 2002년 2월 26일 발표한 인간 복제에 대한 입장에서 “인간 복제는 그 자체로 생식적인 과정이며 그 안에서 초기 단계의 인간 존재(배아)가 생산된다”며 “인간 복제는 어떠한 경우에도 전면적으로 금지돼야 하며, 이식 장기를 얻거나 유전자 치료를 위해서 보다 건전하고 전망이 밝으며 윤리적인 접근인 성체줄기세포 연구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2003년 당시 광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를 지낸 이인재 교수도 「유전공학시대의 인간복제와 생명의료윤리」 논문에서 “상업적 목적 추구를 위해서, ‘할 수 있는 것은 해야만 한다’는 논리를 갖고 언제, 어떤 형태로 (생명공학 기술이) 인간을 위협할지 알 수 없다”며 “우리는 생명공학이 오로지 인류의 안녕과 행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감시해야 하고, 생명공학자들이 안심하고 연구할 수 있는 한계도 제시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소극적으로는 과학과 기술을 통제하는 제도와 법을 제정하고 이를 누구나 준수하도록 해야 하고, 적극적으로는 생명존중에 대한 교육, 즉 생명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도 제언했다.이소영 기자 lsy@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