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 계획 안에 있는 인간사랑

[하느님 계획 안에 있는 인간사랑 - 몸 신학 교리] 아브라함, 이사악, 야곱의 하느님…

이승훈
입력일 2025-05-12 09:45:22 수정일 2025-05-12 09:45:22 발행일 2025-05-11 제 3441호 19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인간을 영원 생명으로 이끄신 하느님…온전히 믿고 신비에 들어가야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드러내는 하느님은 타자를 불러 자신의 생각과 계획을 밝히고 소통한다. 모세에게도 그랬다. 모세는 호렙산의 타오르는 떨기나무에서 하느님 존재를 인식하고, 더욱 가까이 보기 위해 다가갔다.(적극적인 자세) 이때 하느님은 모세를 불렀고, 모세는 응답했다. 이처럼 인간은 하느님의 어떤 대상으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큰 타자에 의해 부름 받고 응답하는 주체이다. 그리고 자신을 거울에 비춰 보듯 그분으로 말미암아 자신을 알고 마음에서 일어나는 갈망을 통해 자신을 넘어 타자에게 건너간다.

모세는 하느님께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들을 이집트에서 이끌어 내어라”는 사명과 파견을 듣는다. ‘내가 어떻게?’라는 질문에 하느님은 “내가 너와 함께 있겠다”(탈출 3,12)는 약속을 한다. 그리고 당신 자신을 “나는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그리고 야곱의 하느님”이라 계시한다. 이들은 인류 역사 안에서는 분명 죽었지만 하느님의 능력으로 산 자, 즉 죽음의 문을 통해 살아있는 하느님께 들어감으로써 산 자가 됐음을 뜻한다.

이 대화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고역에 짓눌려 탄식하는 이스라엘의 부르짖음이 하느님께 닿았고, 그들을 위해 모세가 해야 할 사명과 파견이 하느님의 뜻에 의해 주어졌다는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이스라엘의 부르짖음이 하느님을 불러오고, 모세는 하느님의 부르심에서 이스라엘의 부르짖음을 들었다고 할 수 있다. 하느님은 인간 역사 밖에 있지 않았고, 모세는 역사적 상황 안에서 초월적인 하느님의 음성을 들었다. 세 측면의 관계가 역동적으로 살아있으며 직간접으로 소통하는 형상이다.

예수님에 의해 “나는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이 다시 불러오고 확인된다. 그리고 덧붙이길 “그분께서는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마르 12,27) 죽음은 그 사람의 존재 안에 부활한 생명이 있음을, 그 생명이 하느님 안에서 변화하는 구조임을 강조한 것이다. 

죄로 인해 생명나무로 가는 길이 막힌 것 같지만, 하느님은 인간을 죽음에 두지 않고 인간들과 맺은 계약을 기억하고 생명의 실재를 새롭게 하신 것이다. 예수님에 의해 새로워진 계약은 인간이 죽음으로 무(無)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영원한 생명으로 초청한 하느님을 만나는 것이다. 유한한 인간 생명이 영원한 생명으로 보이지 않는 형태로 변화하는 것이다.

그리스도가 사두가이들에게 한 부활 이야기는 예수님 죽음 이전 상황이었고, 당신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증거 되었으며, 사도 바오로는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남으로써 부활에 대한 통합적 전망을 내놓을 수 있었다. “물질적인 몸으로ᅠ묻히지만 영적인 몸으로 되살아납니다. … 우리 모두 죽지ᅠ않고 다 변화할 것입니다. 순식간에, 눈 깜박할 사이에, … 썩지 않는 몸으로 되살아나고 우리는 변화할 것입니다.”(1코린 15,44)

부활은 인간에게 역사의 차원을 벗어난 저 세상의 이야기고, 하느님 편에서 주도하는 일이라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의 관점으론 수용이 다 되진 않는다. 하느님의 정의 안에서는 생물학적 생명보다 더 중요한 무엇이 있음을, 죽은 이가 무(無)로 추락하지 않고 본래적 실재인 생명 안으로 들어간다는 것을 믿는 신앙이 있어야 한다.(지혜 2,3: 16,13 참조)

누구도 이름을 붙여 소유할 수 없는 그분인데, 누구도 언급할 자격이 없는 그분인데, 스스로 “나는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라 다가오셨다. 해방될 수 없는 죽음이지만 온전히 신뢰하고 그 신비에 들어갈 때 선물이 된다. 매년 부활초에 ‘알파요 오메가’를 쓰고 듣고 찬양하는 이유다.

Second alt text

글 _ 김혜숙 막시마(그리스도 왕직 재속 선교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