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중순이 넘어가면서 본격적인 피서철이 시작되고 있다.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바쁜 일상을 벗어나 계절을 즐기며 새롭게 삶의 활력을 찾는 여름 휴가철은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단순히 흥청망청 먹고 마시는 소비가 돼서는 안될 것이다.
평소에는 하지 못했던 새로운 경험들을 하고 무더위에 지친 심신을 달램으로써 다시금 일상으로 돌아왔을 때 더욱 힘차게, 긍정적이고 진취적으로 자신의 업무와 학업, 가사에 힘쓰도록 몸과 마음을 「재창조」하는 것이 바로 피서, 휴가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피서철의 신앙 생활 역시 신앙인으로서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될 부분이다. 물론 개인적으로나, 혹은 가족, 친지들과 함께 어울리고 여행을 떠나게 되면 신앙 생활의 면에서도 어쩔 수 없이 부족하고 미비한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때로는 주일미사에 참례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도 있고 아침저녁 기도 생활을 소홀히 하거나 단체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앙인이라면 각자의 여건 속에서 최선을 다해 신앙생활에 소홀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은 의무이자 신앙인으로서의 기쁨이기도 하다.
실제로 피서객들이 많이 찾는 전국의 유명 관광지들에는 이른바 피서지 사목, 관광사목 등의 사목적 배려를 통해 휴가를 떠난 신자 피서객들이 평소와 같이 신앙생활을 하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기도 한다.
이제 주5일 근무제가 본격 시행되면 예전에는 계절에 따라 휴가철이 고정됐던 것과는 달리 일년 내내 휴가철의 개념이 자리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한 기업과 관공서들에서는 이처럼 휴가철이라는 개념이 점점 사라지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 사회의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는 측면에서도 휴가를 간다고 해서 신앙생활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의무를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휴가 기간에 신앙적인 의무를 소홀히 한다면 그것은 사회적 일탈 행위와 다르지 않은 신앙적 일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피서지에서도 신앙인으로서 기쁨을 누릴 수 있는 기본적인 생활에 소홀히 하지 말고 교회 당국도 이러한 요청에 맞는 적절한 사목적 배려를 더욱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