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특집] 한국교회 첫 우리말 「교부학 사전」 번역 발간 의미는

주정아 기자
입력일 2022-03-29 15:43:26 수정일 2022-03-29 15:46:29 발행일 2022-04-03 제 3288호 8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교회의 아버지’ 관련 정보 한눈에… 교회 쇄신과 성장에 밑거름
신자들의 영적 스승 역할했던
교부들 문헌 정보 한데 엮어
라틴·그리스어 원문도 담아내
신학 연구에 필수적인 역할
2002년 창립 한국교부학연구회
인명·지명·작품명 통일에 힘써
연구회 20년 활동 열매 맺어
한국교회가 역사상 처음으로 우리말 교부학 사전을 갖게 됐다. 1283쪽에 달하는 「교부학 사전」은 교부들과 교부학적 주제, 교부 문헌과 연구 번역서 등에 관한 문헌학적 정보를 이른바 백과사전처럼 엮은 책이다. 덕분에 연구자들뿐 아니라 학생, 일반 신자들도 중요한 교부학적 주제에 보다 쉽게 접근하고 정보를 습득, 교부학 연구와 신앙 교육 등에 큰 힘을 얻게 됐다.

사전은 한국 교부학 연구의 권위자로 꼽히는 하성수(시몬) 한국교부학연구회 선임연구원을 비롯해 노성기 신부(루포·한국교부학연구회 총무·전 광주가톨릭대 교수)와 최원오 교수(빈첸시오·한국교부학연구회 회원·대구가톨릭대)가 공동번역했다. 출판은 한국성토마스연구소(소장 이재룡 시몬 신부)가 ‘천주교조선교구설정 200주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진행했다.

사전 소개와 함께 교부들이 그리스도교 신앙에 미치는 영향과 교부학 연구의 필요성 등에 관해 짚어본다.

■ 교부들과 한국교회

교부(敎父), 즉 ‘교회의 아버지’는 신자들의 영적 스승인 주교들을 부르던 호칭이다. 교회의 정통 신앙을 따르고 가르치며 생활은 성덕으로 빛나, 교회가 교부라고 인정한 이들이다. 시대적으로는 1~8세기 교회의 기초를 놓고 영성의 기틀을 세운 신학자이자 영성가였을뿐 아니라 대부분 직접 신자들을 돌본 사목자였다. 무엇보다 사도들로부터 직접 전해 받은 신앙의 가르침을 전수했다는 점에서 이들의 권위가 빛난다.

우리가 지금 믿고 고백하는 각종 교리 또한 성경과 함께 바로 이 교부들의 가르침 안에서 다듬어졌다. 특히 교황청은 「사제 양성에 있어서 교회 교부 공부에 대한 훈령」(1989년, 가톨릭교육성)을 통해 신학과 영성, 전례, 사목, 교회 규율 등에 관한 교부들의 기여는 모든 시대에 적용할 수 있는 소중한 토대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관해 노성기 신부는 “교부들에 대한 연구는 성경과 더불어 모든 신학의 기초”라며 “전통과 단절되거나 과거를 소홀히 하면 그리스도교의 살아 있는 전통을 올바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교부들의 가르침에 대해 알고 연구하는 노력은 교회 쇄신과 성장의 필수 요소로 꼽힌다. 한국교회 신학의 토착화를 위해서도 빼놓을 수 없는 여정이다. 게다가 한국교회 역사는 그 시작부터 교부들에 대한 연구 전통과 맞닿아 있다. 예를 들어 한국교회 창립 선조들은 판토하 신부의 「칠극」을 깊이 파고들 정도로 읽었다. 때문에 토막글이긴 하지만 칠극에 나오는 교부들의 가르침과 주요 교부들의 이름 등은 신앙선조들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한국교회는 우리말 교부 문헌은커녕 제대로 된 입문서 한 권 없는 시간을 꽤 오래 보내야 했다. 우리말로 옮겨진 첫 번째 교부 문헌은 1965년 고(故) 최민순(요한 사도) 신부가 라틴어 원전을 완역해 낸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고백록」이었다. 이후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교부학 박사 학위를 받은 고(故) 이형우 아빠스(시몬 베드로·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가 1987년부터 「교부 문헌 총서」 발간을 시작했다.

■ ‘교부학 사전’과 우리말 교부 문헌

우리말로 된 첫 교부학 입문서는 1987년 개신교회에서 먼저 번역, 출간됐다. 가톨릭교회 안에서 입문서 번역을 본격적으로 시작된 때는 2000년대 들어서였다. 하지만 이때에도 사전 발간은 요원했다. 최원오 교수는 “한국은 오랜 세월 교부학의 불모지였다”며 “교부 시대의 개별 인물들을 비롯해 중요한 교부학적 주제들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좋은 사전은 교부학뿐 아니라 모든 신학 연구에 필수적”이라고 우리말 사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교부학 사전 번역을 위해선 먼저 교부들의 인명과 지명을 정리하고 통일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다행히 한국교부학연구회(회장 장인산 베르나르도 신부)가 2002년 창립 때부터 용어 통일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연구했다. 구체적으로 하성수 선임연구원이 용례집 시안을 만들어 「교부학 인명·지명 용례집」을 펴냈고, 회원들이 공동으로 「교부 문헌 용례집」도 선보였다. 하 박사는 이에 앞서 「교부 열쇠」를 비롯한 굵직한 문헌 목록들을 종합 분석해 교부 작품명 시안도 만들었다. 한국교부학연구회가 이렇게 교부학 인명과 지명, 작품명 통일안을 갖추는데 애쓴 시간만도 12년이다.

고된 과정을 거쳐 사전 번역을 위한 기초를 만들었지만, 본격적인 번역 과정에선 더욱 더 까다롭고 어려운 일들이 수년간 이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역자들은 사전에 상대적으로 수월한 약어 표기를 하지 않고, 한국 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우리말 번역문뿐 아니라 라틴어와 그리스어 원문까지 사전에 담아냈다. 교부학 용어뿐 아니라 연관 학문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사용해온 용어들을 통일, 일관성 있게 번역하는 데에도 힘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이렇게 발간된 우리말 「교부학 사전」은 한국교부학연구회 20년 활동의 큰 열매로서도 의미를 더한다.

「교부학 사전」의 원서는 현대 교부학계의 대가로 평가받는 지그마르 되프와 빌헬름 게어링스 교수가 공동편집한 「고대 그리스도교 문헌 사전」이다. 이 사전은 「교부학과 고대 그리스도교 새 사전」과 함께 세계 교부학 사전의 양대 기둥을 이루고 있다.

※문의 02-762-1194 기쁜소식

주정아 기자 stella@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