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기해박해 유물·역사 담아낸 「기해 1839」 발간

우세민 기자
입력일 2020-07-07 15:15:43 수정일 2020-07-07 15:15:43 발행일 2020-07-12 제 3203호 6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부산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지난해 전시 도록 발간하며 유물과 함께 역사 다각도로 조명
1831년 조선대목구가 설정되고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 앵베르 주교가 입국하면서 조선교회는 교세가 크게 확장됐다. 그러나 1839년 3월, 전국에 천주교도에 대한 탄압이 일어나 세 선교사와 많은 신자들이 체포되고 순교한다. 이 일을 ‘기해박해’(己亥迫害)라 부른다.

부산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관장 배선영 수녀)이 「기해 1839」(212쪽/3만5000원) 특별전 도록을 최근 발간했다. 지난해 기해년 순교 180주년을 맞아 9~12월 박물관이 열었던 동명의 특별전 내용을 담았다. 기해박해를 재조명하면서 세도 정권의 흐름 속 박해 과정을 살펴본 책이다. 역사에 대한 해설과 특별전 전시유물 사진이 담겨져 당시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기해박해 당시 희생된 경남 언양 창녕 성씨 가문을 조명해, 조선후기 영남지역 천주교 전파과정을 알 수 있는 연구 자료로서 의의가 크다.

도록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1부 ‘조선의 서학 수용과 한국천주교회 성립’에서는 조선에 서학이 전래된 후 성직자 영입 운동으로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입국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2부 ‘세도정치와 신유박해’는 어린 순조를 대신해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고, 노론 벽파가 집권하는 배경과 신유박해 과정, 박해 후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 과정을 다루고 있다. 3부 ‘조선대목구와 기해박해’에서는 2차 성직자 영입 운동 추진 후 조선대목구가 설정되고, 세 선교사가 입국하면서 교세가 확장되는 과정이 펼쳐진다. 또 세도 가문이 안동 김씨에서 풍양 조씨로 넘어가면서 기해박해가 발생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3부에는 기해박해의 여파로 언양 창녕 성씨 가문이 희생되는 상황도 알 수 있다. 복자 윤지충, 하느님의 종 황사영 등과 교류한 성처인, 조선교구 분리 독립에 영향을 끼친 성진탁, 기해박해 때 체포돼 옥사한 성칠규 등이 소개된다. 도록은 당시 영남지역 천주교 수용이 중앙에서 전파한 것이 아니라 이곳 지역민들이 중앙과의 연결 속에서 이뤄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해년 순교자들의 행적을 현석문 성인이 산간벽지를 돌아다니며 신자들로부터 직접 수집·기록한 「기해일기」. 78명의 순교자전으로, 이 중 69위는 1984년 시성됐다.

기해박해 때 순교한 무명 순교자의 묵주. 후대의 신자가 간직했다가 한국순교복자수녀회에 기증했다.

본문에 앞서 서종태(스테파노) 교수가 쓴 ‘기해박해와 세도정권’, 손숙경(프란치스카 로마나) 교수가 쓴 ‘조선후기 언양 지역의 초기 천주교 수용자들과 수용 형태’ 논고도 있어,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이 책을 기획하고 편집한 강주성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기해박해의 원인이 다양한 이해관계 속에서 일어났음을 다각도로 조명했다”며 “세도정치기 임에도 안동 김씨 김유근과 풍양 조씨 조인영, 추사 김정희가 교유(交遊)했던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된다”고 말했다.

※문의 051-583-2923 부산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우세민 기자 semin@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