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밀알 하나] 결국 하느님 / 양하영 신부

양하영 신부(제1대리구 남양본당 주임)
입력일 2021-02-02 15:20:28 수정일 2021-02-02 16:25:14 발행일 2021-02-07 제 3231호 3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사목활동 중, 하느님에 대한 원망과 미움으로 자책하는 분들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어렵고 아팠던 사연들에 의해 본인의 삶을 실패작이라 여기며, 자신의 죄로 벌을 받는 것이라고까지 생각한다. 그뿐만 아니라 하느님이 나를 버린 것 같고 왜 나에게만 이런 아픔과 괴로움을 주냐는 울분에 휩싸인다. 그렇게 하느님을 원망하고 밀어낸 채 살아가는 모습들을 본다. 죄책감은 있어도 원망스러운 하느님과 이렇게 연을 끊고 사는 것이 차라리 나은 것일까?

고 박완서 작가의 「한 말씀만 하소서」라는 책이 있다. 남편을 세상에서 떠나보내고 얼마 되지 않아 사랑하는 아들까지 잃은 작가의 일기다. 사랑하는 남편과 아들의 죽음…. 작가의 절규가 글에 다 담겼을까? 작가는 아이를 낳는 고통보다 더 컸을 자식 잃은 고통에 울부짖는다. 그리고 그 죽음에 대해 자책했다. 그동안 타인에 대한 철저한 무관심이란 죄로 태산 같은 고통을 받았다고 말이다.

세상과 삶의 의미를 잃어 죽음을 선택하고 싶어도 용기가 나지 않아 그마저 좌절되는 엄마의 마음. 헤아릴 수 없는 괴로움으로 묵주를 집어 던지기까지 하며 하느님을 원망하였다. 그리고 하느님을 속으로 골백번 죽이고 또 죽였다. 작가는 처절히 절규한 뒤, 세상으로부터 등을 돌리고 하느님을 수없이 죽였어도, 남은 것은 결국 하느님임을 고백한다. “내 아들이 없는 세상도 사랑할 수가 있다니… 주여, 저에게 다시 이 세상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 세상을 잃었지만, 하느님께서 남은 가족, 지인들이라는 다른 세상으로 초대하셨고 그곳에서 더 깊이 살아갈 힘을 주심에 드린 기도다.

하느님이 너무 원망스러워 저주도 하고, 하느님을 몇 번이나 죽일 만큼의 고통이 있다. 하느님을 향한 원망, 미움… 괜찮다. 복음 속 ‘돌아온 아들’ 이야기 중, 아들은 아버지를 죽은 사람으로 여기며, 유산을 챙겨 집을 버리고 떠났다. 시간이 흘러 아들은 모든 것을 잃고 집으로 돌아온다. 멀리서 아들이 돌아오는 모습을 본 아버지는 “너 그렇게 나갈 땐 언제고 뭐 하러 돌아왔냐!”는 말도, 그 어떤 질문도 하지 않고 버선발로 뛰어나와 아들을 그저 꼭 안아준다.

우리의 슬픔이나 괴로움은 나의 선택에 따른 것도 있겠지만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하는 이끄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우리는 그 슬픔과 괴로움의 근원을 모두 알 수 없기에 더 답답하고 괴롭다. 하지만 죽음보다 더한 고통 중에도 아버지 하느님은 또 다른 세상이라는 품을 두 팔 벌려 열어두신다. “고생했다. 얼마나 아프고 힘들었니. 괜찮다. 괜찮아”하시면서 토닥여주시기 위해서 말이다. 하느님 실컷 욕해라. 실컷 원망해라. 우리가 어디 가서 속이 뻥 뚫리게 욕해보겠는가. 그렇게 실컷 쏟아낸 뒤에, 우리에게 욕먹고 두들겨 맞으면서도 끝까지 나를 사랑해주고 기다려주는 분은 ‘결국 하느님’이심을, 이것 하나만 기억하자

양하영 신부(제1대리구 남양본당 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