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획/특집

[가톨릭 쉼터] 귤과 에밀 타케 신부

박민규 기자 pmink@catimes.kr ,이창준
입력일 2020-12-15 수정일 2020-12-16 발행일 2020-12-20 제 3224호 12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척박한 땅 제주에 희망 심었다 배고픈 민중 먹여 살리기 위해 
타케 신부가 일본으로부터 들여온 온주 밀감 14그루가 귤 산업의 기반
가난했던 주민들 경제적 자립 위해 식물 채집으로 받은 보상금으로 땅 구입해 농민들에게 농사 가르쳐 

겨울철이면 어김없이 식탁 한 자리를 차지하는 과일, 귤. 지인들에게 선물도 많이 하는 귤은 이제 국민 과일이 됐다. 하지만 우리 곁에 너무 가까이 있으면 오히려 그 의미를 잘 생각 못하듯, 귤의 역사를 아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다. 놀랍게도 지금 우리가 먹고 있는 귤은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이, 그것도 한국으로 선교 온 사제에 의해 보급됐다. 푸른 눈의 선교사 파리외방전교회 에밀 타케 신부(Emile Taquet, 한국명 엄택기, 1873~1952)가 그 주인공이다.

에밀 타케 신부.

■ 식물 채집가 에밀 타케 신부

1898년 처음 조선 땅을 밟은 타케 신부는 경상도와 전라도, 그리고 제주도를 오가며 선교 열정을 쏟았다. 타케 신부가 한국에서 보낸 시간은 55년이다. 태어나고 자란 프랑스보다 2배가 넘는 시간을 한국에서 보냈다.

그 중 타케 신부가 남긴 가장 뛰어난 업적은 식물에 대한 사랑이다. 그 시작은 제주도에서부터다. 1902년 서귀포 하논본당 제3대 주임신부로 부임한 타케 신부는 부임하자마자 한라산이 잘 보이고 하논 분화구에서 가까운 서홍동 홍로로 성당을 옮겼다. 홍로로 이전한 뒤 타케 신부는 13년간 홍로본당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하면서 제주교구의 초석을 마련했다.

그 와중에 일본에서 식물 채집으로 유명한 파리외방전교회 포리 신부(1847~1915)를 만난 후 본격적인 식물 채집에 들어갔다. 타케 신부는 홍로본당에서 식물 1만여 점을 채집하고 표본을 만들어 미국 하버드대, 영국 왕립식물원 에든버러, 프랑스 파리 자연사박물관, 일본 도쿄대 등에 보내 제주 식물을 전 세계에 알렸다.

왕벚나무(천연기념물 제156호) 발견은 타케 신부의 대표적인 업적이다. 1908년 타케 신부는 포리 신부 도움 없이 혼자 힘으로 한라산 해발 600미터 지점에서 왕벚나무를 발견해 제주도가 왕벚나무 자생지임을 최초로 밝혔다.

또 현재 유럽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로 사용되고 있는 구상나무도 1907년 포리 신부와 함께 한라산 해발 1400미터에서 최초로 발견했다.

■ 온주 밀감의 아버지

타케 신부는 왕벚나무를 발견한 후 일본 아오모리현에 있는 포리 신부에게 보내고 그 답례로 1911년 온주 밀감 14그루를 받았다. 오늘날 제주 감귤 산업의 초석이 마련되는 순간이었다.

과거에도 감귤 재배 기록은 있지만, 조정에 진상품 생산을 위한 것이어서 일반 백성들 생활과는 거리가 멀었다. 오히려 진상품이었던 감귤재배를 위해 백성들이 강제 노역에 동원되면서, 수탈 대상인 감귤나무를 뽑아 버리는 등 감귤재배에 대한 기피가 이어졌다. 진상제도 폐지 후에도 농민들은 감귤재배에 큰 관심이 없었다.

온주 밀감이 들어온 후 서홍동을 중심으로 하논 일대에 감귤원이 조성됐다. 해방 후에는 온주 밀감으로 자식들 대학까지 보낼 수 있다는 의미에서 ‘대학나무’라고 불리기도 했다.

1960년대에는 정부가 제주 감귤 산업을 육성 지원하면서 크게 발전하게 되고 오늘날에까지 우리나라 겨울 대표 과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타케 신부가 포리 신부로부터 받은 온주 밀감 14그루 중 1그루가 ‘면형의 집’(옛 홍로성당 터)에서 100년 넘게 명맥을 유지하다 지난해 고사했다. 고사된 나무는 방부 처리하고 면형의 집 성당 입구에 ‘홍로의 맥’이라는 이름으로 박제했다. 고사된 나무 자리에는 온주 밀감을 들여온 타케 신부의 업적비가 크게 세워져 있고, 바로 옆에는 60년 된 후계목이 자라고 있다.

면형의 집 수도원장 김성 신부(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는 “타케 신부가 들여온 온주 밀감 나무는 상징성이 워낙 크고 중요하기 때문에 후대에 대대로 물려줄 수 있도록 잘 관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최대 감귤 생산지 제주 서귀포 일대 감귤농장에서 주민들이 귤을 따고 있다.

타케 신부가 1911년 포리 신부로부터 받은 우리나라 최초 온주 밀감 14그루 중 1그루가 심겨 있던 자리(면형의 집, 옛 홍로본당 터)에 이를 기념하는 큰 비석이 새겨져 있다. 옆에는 타케 신부가 들여온 온주 밀감의 후계목이라는 이름으로 60년 된 나무가 함께 자라고 있다.

타케 신부가 1911년 포리 신부로부터 받은 우리나라 최초 온주 밀감 14그루 중 1그루가 100년 넘게 명맥을 이어오다 지난해 면형의 집(옛 홍로본당 터)에서 고사한 후 ‘홍로의 맥’이라는 이름으로 면형의 집 성당 입구에 박제돼 있다.

■ 에밀 타케 신부를 기억하며

타케 신부가 이토록 식물 채집에 몰두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에밀타케식물연구소 이사장 정홍규 신부(대구대교구 원로사제)는 “타케 신부가 보인 식물에 대한 관심은 사목적 열정에서 나온 것”이라고 밝혔다. 그 당시 제주도는 매우 가난했기 때문에 타케 신부는 땅을 사서 지역 사람들에게 논농사도 가르치고, 식물 채집으로 받은 보상금을 다시 농민들을 위해 썼다. 정 신부는 “타케 신부는 사목적 이유와 지역 주민들을 살리기 위해 식물을 채집한 것”이라며 “사람을 사랑하지 않으면 이런 열정이 나올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타케 신부는 식물 분류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오히려 교회 내적으로 그 가치를 제대로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며 “앞으로 기념비나 동상, 타케 신부 이름을 딴 도로, 정원, 박물관, 식물원 등을 만들어 현대인들이 갈망하는 부분들에 교회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타케 신부를 기억하는 것 자체가 오늘날 생태위기 상황에서 통합적 가치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밝혔다.

박민규 기자 pmink@catimes.kr ,이창준 제주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