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연민의 하느님 시선으로 고통받는 이들의 삶 기록”

박지순
입력일 2025-03-31 13:43:18 수정일 2025-03-31 13:43:18 발행일 2025-04-06 제 3436호 21면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인터뷰] 사회 부조리 사진으로 알리는 장영식 사진작가
Second alt text
한국 사회 약자들의 모습을 사진에 담는 장영식 사진작가의 모습. 조종완 씨 제공

“사람이 고통받는 현장에서 사진 찍습니다”

“사진은 개인적 유희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진기를 손에 든 순간에는 소명의식 같은 것이 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고통받고 있는 현장에 저를 부르셨고, 저는 사진으로 응답할 뿐입니다. 세상과 인간을 위하시는 연민의 하느님 모습을 사진으로 재현하고 있습니다.”

아픔을 겪는 노동자와 사회적 약자들을 사진에 담고 있는 장영식 작가(라파엘로·부산교구 전포본당)는 노동 현장이나 사회 현안이 벌어지고 있는 곳에서는 다큐멘터리 사진작가로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다. 본래 어릴 적부터 사진에 관심이 많아 흑백 사진을 찍다가 몸담고 있던 교직을 떠난 1990년대부터 본격적인 사진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제가 지금처럼 사회적 약자들과 부조리를 바라보기 시작한 것은 2011년 1월 한진중공업 해고노동자인 민주노총 부산본부 김진숙 지도위원이 영도조선소 제85호 크레인 고공 농성을 하는 장면을 목격하면서입니다. 제85호 크레인 고공 농성도 그렇고, 밀양 송전탑 건설 반대운동 현장에서 제가 사진을 찍은 것은 하느님은 언제나 사회적 약자의 자리에 계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사진작가로서 지금, 바로 여기, 우리의 삶의 자리에서 하느님은 어디에 계실까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장 작가는 오늘날에는 사진기를 손에 드는 사람은 누구나 사진가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중요한 것은 사진을 통해 현실을 왜곡 없이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진작가라고 해서 특별한 자부심이 있을 수는 없습니다. 현대사회는 이미지 시대이기 때문에 언어보다 이미지가 더 중요시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미지를 통해 현실을 왜곡할 수 있는 위험도 뒤따릅니다. 사진 뒤에서 사진이 말하고자 하는 언어를 읽어야 합니다. 항상 제가 붙박고 살고 있는 현실 안에서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기록하고 재현하는 사진가로서의 역할에 성실하게 임하고 싶습니다.”

장 작가는 지금도 구미 한국옵티칼지회, 서울 세종호텔,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노동자들이 고공농성을 벌이는 현장 등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아픔의 현장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신앙에서 힘을 얻기에 가능한 일이다.

“저는 현장에 사진기와 묵주를 꼭 지니고 갑니다.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된 인간의 존엄성을 기억하고 연민의 예수님을 기억합니다. 국가의 부조리에 의해 인간의 존엄성이 짓밟힌다면 그것은 바로 하느님이 짓밟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하느님께서 ‘아담아, 너 어디에 있느냐?’라고 부르실 때, 응답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합니다.”

장 작가는 “안동교구 정양모(바오로) 신부님과 부산교구 고(故) 서공석(요한 세례자) 신부님의 신학사상에 큰 영향을 받았다”면서 “최근 한국사회 현실에서 교회가 시대적 징표를 올곧게 읽고 예언자적 소명에 충실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사순 시기를 거룩하게 보내는 참된 회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지순 기자 beatles@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