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바티칸 시국 행정부 차관 에밀리오 나파 대주교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숫자 ‘60’은 역사의 한 주기를 마무리함과 동시에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교황청 전교기구 한국지부가 60년 동안 보편교회에 보여준 헌신과 노력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 경험들이 새로운 출발을 위한 든든한 밑거름이 되리라 믿습니다.”
바티칸 시국 행정부 차관 에밀리오 나파(Emilio Nappa) 대주교가 교황청 전교기구 한국지부 설립 6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방한했다. 2022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교황청 전교기구 총재를 역임한 나파 대주교는 한국지부가 앞으로도 보편교회의 선교 사명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를 기대했다.
“1990년대 후반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님의 결정으로 서울대교구를 비롯한 한국교회는 교황청의 재정적 지원을 더 이상 받지 않기로 했습니다. 대신 세계 곳곳 어려운 교회와 교구를 돕기로 한 것이지요. 이러한 한국교회의 너그러움은 오늘날 세계 여러 교회의 귀감이 됩니다”
나파 대주교는 “한국지부는 단순히 한국교회 기구가 아닌 보편교회 기구로 한국의 선교사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선교 사명을 수행하는 모든 이들과 함께하고 있다”며 “이는 1200여 개에 이르는 선교 지역 교구의 선교사들이 생활하고, 성당을 짓고, 교리교사를 양성하는 데 필수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지부가 더욱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 한국교회 각 교구에 전교기구를 담당하는 지부를 두는 것도 필요하다 본다”며 “한국지부와 각 교구 간 긴밀한 소통 속에 세계 교회의 어려움을 더욱 잘 이해하며 보편교회와의 협력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나파 대주교는 전교기구 활동과 지원의 핵심이라 할 선교에 관해서는 ‘비범함’을 키워드로 꼽았다.
“모든 믿는 이는 복음 선포의 사명을 지니고 있습니다. 선교는 단순히 복음을 직접 전하는 것뿐만 아니라 믿음과 희망, 사랑의 정신으로 일상의 작은 일들을 살아가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무엇을 하느냐가 아니라, 어떤 정신으로 하느냐입니다. 평범한 일을 비범한 정신으로 행하는 것이 바로 선교입니다.”
이탈리아 나폴리가 고향인 나파 대주교는 한국과 이탈리아가 역사적으로, 그리고 민족적 성향도 닮은 점이 많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의 주교님들과 신자분들의 환대를 받으며 감정이 풍부하고 사람을 좋아하는 성향을 지닌 제 고향에 온 느낌을 받았다”며 “퇴원 후 성녀 마르타의 집으로 돌아오신 교황님께 한국 신자분들의 환대, 그리고 교황님의 쾌유를 청하는 기도와 응원을 직접 전하겠다”고 밝혔다.
“가톨릭이라는 단어는 신앙을 통한 하나의 정체성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세계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과도 형제자매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가장 필요한 순간 도움을 전할 수 있는 건 큰 축복입니다.”
3월 26일 입국한 나파 대주교는 이날 주교회의 정기총회 중인 한국 주교단과 서울 주교좌명동대성당에서 ‘프란치스코 교황 선출 기념미사’를 함께 봉헌했다. 이후 주교회의를 찾아 상임위원회 주교들과 오찬과 간담회를 열고, 28일 대구대교구, 29일 수원교구, 30일 서울대교구 등을 방문한 후 31일 교황청 전교기구 한국지부 60주년 기념미사에 함께했다.
이승환 기자 lsh@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