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교자 집안서 일찍이 신앙교육… 가문에 대한 자부심 컸다 종조부에 의해 신앙 전해져 성인 부친과 복자 증조부 등 순교자 배출한 신심 깊은 가문 어릴 때부터 가족 삶 영향 받아 편지에 ‘김해 김씨’ 후손 드러내 순교 전 체포 당시 소지품에 집안 순교자 유품 포함 추정
성 김대건(안드레아) 신부와 하느님의 종 최양업(토마스) 신부는 우리나라 첫 신학생이자 첫 사제로서, 피의 순교와 땀의 순교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들의 사목 생애에는 단순히 영웅적인 측면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인간적인 모습도 존재한다. 인간적인 탄생과 성장, 신앙의 성숙, 좌절과 역경, 희망 등을 모두 담고 있었고, 그 수많은 시간들의 결실이 순교로 빛날 수 있었던 것이다.
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 탄생 200주년을 맞아 이들이 살아간 그 시간을 걸으며 오늘날 우리 신앙을 돌아본다. ■ 성가정이 뿌린 신앙의 씨앗 1821년 8월 21일 태어난 갓난아기 김대건의 시간을 걸으려면 먼저 그의 가족을 바라봐야 한다. 김대건에게 신앙의 뿌리를 내리게 해 준 것이 바로 그 집안이었기 때문이다. 김대건의 종조부 김종현이 신앙을 받아들이면서 집안 전체에 신앙이 전해졌다. 김종현의 전교로 김대건의 증조부 복자 김진후(비오)도 입교했고, 일가 전체가 천주교를 믿게 됐다. 특히 김대건의 조부 김택현은 김대건 집안에 천주교 교리를 전한 장본인이자 내포의 사도로 유명한 하느님의 종 이존창(루도비코 곤자가)의 딸 멜라니아와 결혼해 성 김제준(이냐시오)을 낳았다. 한국교회 초기부터 신앙을 이어온 김대건의 집안이 얼마나 신심 깊었는지는 집안에서 순교자들이 많이 나왔다는 점에서 짐작할 수 있다. 이미 김대건의 순교 이전에 증조부 김진후를 비롯해 숙조부 복자 김종한(안드레아), 부친 김제준 등이 순교했다. 김대건의 순교 이후로도 여러 순교자가 나왔다. 김대건의 조부 김택현은 1827년 정해박해 즈음 난리를 피해 서울 청파동으로 갔다가 용인 한덕골에 자리를 잡았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김대건의 가족은 마을 근처 골짜기에 들어가 나무에 칡을 얽고 그 위에 억새를 덮어 살기 시작했다고 한다. 김대건의 부친 김제준은 한덕골과 인근 신자들이 모인 굴암 공소 회장을 역임했을 뿐 아니라, 김대건 성인 일가 족보에 따르면 성인의 조부 김택현과 숙부 김제철의 묘가 한덕동에 있다고 기록돼 있다. 김대건의 일가가 박해를 피해 가산을 모두 버리고 낯선 산골에서 궁핍하게 생활해야 했음에도 신앙생활만은 이어갔음을 짐작할 수 있다. 김대건은 이런 집안 풍토 안에서 어려서부터 신앙교육을 받아왔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신앙교육은 단순히 말이나 지식에 그친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버리고 하느님을 찾는 실천으로 보여주는 교육이었다. 「기해·병오박해 순교자 증언록」에서 이 베드로와 김 프란치스코 등의 증언에 따르면, 김대건은 태중교우로서 어려서부터 이미 열심히 신앙생활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흔히 김대건이 1836년 세례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여러 교회사학자들은 김대건 집안의 신앙을 고려했을 때 김대건이 1836년 처음으로 세례를 받고 신앙생활을 시작한 것이 아니라 이미 유아세례를 받고 사제에게 보례(補禮)를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고(故) 이원순(에우세비오) 교수는 「김대건 가문의 신앙 내력과 순교 전통」에서 “김대건의 가문이 천주 신앙의 성가정의 분위기였기에 어린 소년 대건은 성소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결단을 내려 천주의 부름에 나설 수 있었던 것”이라며 “또한 그의 부모는 선뜻 어린 자식을 천주께 봉헌하기로 하고 만리 타향 이국 땅으로 유학 길에 나서게 했던 것”이라고 김대건 집안의 신앙을 평가했다.이승훈 기자 joseph@catimes.kr